■ 2월 조사기간 : 2018년 2월 5일 ~ 9일 (기준일로부터 5일)
■ 지수 기준시점 : 2015년 12월 = 100.0
■ 주요 통계지표는 각 개별 제공기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준공실적 & 미분양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 통계누리 (stat.molit.go.kr)
청약통장 가입현황 : 금융결제원 주택청약 조회서비스 (www.apt2you.com)
■ (알림)계절조정지수 종료 안내
2018년 3월 부터 "계절조정지수" 제공을 종료하오니, 자료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월간)KB주택가격동향(2018.02)_보도자료_.doc
[매매가격]
전국 주택매매가격 전월대비 상승폭 증가
전국(0.22%)의 주택매매가격은 서울(0.69%)을 비롯한 수도권(0.39%)이 강세를 보이며 전월(0.19%)대비 상승률 증가.
수도권(0.39%)은 전월대비해서 상승폭이 유사하며 5개광역시(0.05%)는 지역별로 증감이 엇갈리며 상승세가 소폭 오름. 한편, 기타지방(-0.03%)은 전월에 이어 계속 하락한 것으로 조사됨.
수도권 주택매매가격은 전월대비 상승폭 유사
수도권(0.39%)에서 서울(0.69%)과 인천(0.21%), 경기(0.16%)가 전월대비 상승세가 증가하였음.
수도권에서는 서울 강남구(1.87%), 송파구(1.75%), 성남 분당구(1.57%), 성동구 (1.43%), 인천 부평구(1.03%), 강동구(0.92%), 과천(0.91%) 순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5개 광역시는 부산과 울산은 하락, 대구와 광주, 대전에서 상승하며 소폭 상승
광역시 중 인천을 제외한 5개광역시(0.05%)에서는 광주(0.22%)와 대구(0.13%), 대전(0.06%)는 상승한 반면, 울산(-0.08%), 부산(-0.03%)은 전월대비 하락함.
5개광역시 상승률 상위지역으로는 광주 남구(0.68%), 대구 수성구(0.39%), 대구 동구(0.30%), 광주 동구(0.29%), 광주 광산구(0.20%), 부산 동구(0.20%) 순으로 조사됨.
기타지방 주택매매가격은 전월에 이어 연속 하락
경남(-0.30%), 충북(-0.09%), 충남(-0.08%) 및 강원(-0.02%)의 하락으로 기타지방이 전체적으로 -0.03% 하락을 보임.
기타시도 상승률 상위지역으로는 포항 북구(0.98%), 전주 덕진구(0.48%), 순천(0.17%), 목포(0.11%)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하락률 상위지역으로는 김해(-0.82%), 창원 성산구(-0.27%), 천안 동남구(-0.21%), 구미(-0.19%) 순으로 나타남.
[전세가격]
전국 주택전세가격 전월대비 상승이나 보합에 가까움
전국(0.01)의 주택전세가격은 서울(0.17%)과 기타지방(-0.07%)이 엇갈린 증감을 보이며 전월대비 미세한 상승을 이어감.
수도권(0.04%)은 상승하며 상승세를 이어감. 한편, 기타지방(-0.07%)은 과잉공급된 신규물량 영향으로 매물이 적체되며 지난달에 이어 계속 하락함.
세부 지역별로는 서울(0.17%), 광주(0.15%), 전남(0.13%), 대구(0.10%), 전북(0.01%)에서 상승하였고 경남(-0.26%), 울산(-0.11%), 충남(-0.10%), 경북(-0.08%), 강원(-0.06), 부산(-0.05%), 인천(-0.05%), 경기(-0.05%), 충북(-0.03%), 대전(-0.01%)은 하락함. 세종은 전월 대비 보합임.
수도권 주택전세가격은 전월대비 상승폭 소폭 하락
수도권(0.04%)은 서울(0.17%)이 전월과 유사한 수준으로 상승세를 지속하고 인천(-0.05%)과 경기(-0.05%)는 전월대비 하락임.
수도권 상승률 상위지역으로는 구로구(0.68%), 강남구(0.44%), 성북구(0.42%), 종로구(0.38%), 강서구(0.33%), 중랑구(0.31%) 순으로 나타남.
5개 광역시는 광주, 대구에서 전월대비 상승
광역시 중 인천을 제외한 5개광역시(0.02%)에서는 울산(-0.11%), 부산(-0.05%), 대전(-0.01%)은 하락한 반면, 광주(0.15%)와 대구(0.10%)는 상승임.
5개광역시 상승률 상위지역으로는 광주 남구(0.64%), 대구 동구(0.53%), 부산 서구(0.34%), 광주 서구(0.25%), 부산 동구(0.14%), 부산 수영구(0.11%) 순으로 조사됨.
기타지방 주택전세가격은 경상도, 충청도 영향으로 전월에 이어 하락
기타지방에서는 경남(-0.26%)과 충남(-0.10%), 경북(-0.08%)에서 하락하며 전체적으로 -0.07% 하락함.
기타지방 상승률 상위지역으로는 순천(0.20%), 여수(0.13%), 전주 덕진구(0.10%), 포항 북구(0.08%) 순으로 상승하였고, 하락률 상위지역으로는 김해(-0.77%), 구미(-0.26%), 창원 의창구(-0.23%), 아산(-0.22%), 창원 합포구(-0.15%) 순으로 나타남.
『주택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는 67.1%로 전월대비 하락
전국의 주택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는 67.1%로 전월(67.3%) 대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단독주택 43.4%는 전월대비 보합, 연립주택 67.2%는 전월대비 하락을 기록함.
전국 아파트(74.1%)는 전월대비 하락임.
종합 기준 5분위 배율은 전월대비 보합
고가주택과 저가주택의 가격격차를 나타내는 전국의 종합 기준 주택가격 5분위 배율은 5.4배로 나타났고, 서울지역 주택가격 5분위 배율은 5.0배로 조사됨.
KB 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100을 하회, 전세도 소폭 하회
일선중개업소에서 느끼는 부동산 경기 흐름을 토대로 3개월 후 아파트 매매, 전세 가격 동향을 조사하는 KB부동산 매매가격/전세가격 전망지수는 전월대비 하락하며 매매는 96.7, 전세는 94.6로 조사됨.
지역별로는 매매는 서울만이 기준치인 100 이상으로 조사되어 주택매매가격이 앞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세는 전 지역이 기준치인 100 이하를 기록하며 주택전세가격의 하락을 전망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KB부동산 매매가격/전세가격 전망지수는 매매는 2013.4월, 전세는 2016.1월 부터 조사되었으며, 0~200범위 이내로 지수가 100이면 보합을 나타내고 100을 초과할수록 ‘상승’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함.
『KB아파트 월세지수』서울, 경기는 전월대비 하락
2016년 1월부터 조사를 시작한 KB아파트 월세지수는 서울은 -0.01%, 인천은 0.08% 경기는 -0.06%로 증감한 것으로 조사됨. 전체적으로 수도권은 전월대 기록함.
한편, 임대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이율을 조사하는 KB전월세전환율은 수도권이 4.95%를 기록하며 지난달 수준을 유지함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토교통부] '18년 4월~'18년 6월 전국 아파트 105,121세대 입주 예정 (0) | 2018.03.20 |
---|---|
춘천 센트럴타워 푸르지오 입주자 모집공고(분양가 확인) (0) | 2018.03.16 |
[한국은행] 2018년 1월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0) | 2018.03.02 |
[국토교통부] 분양가상한제 기본형건축비 3월 정기 고시 (0) | 2018.03.02 |
[한국은행] 최근의 국내외 경제동향 (2018.2) (0) | 2018.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