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3월 22일 오전 8시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융・경제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여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1.25~1.5%→1.5~1.75%)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반응과 국내 금융‧경제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였음
*부총재보, 외자운용원장, 조사국장, 국제국장, 통화정책국장, 금융안정국장, 금융시장국장, 경제연구원장, 공보관, 정책보좌관, 투자운용1부장, 자본시장부장 등 참석
□미국 금융시장은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이 예견되었고 금년중 정책금리 예상 경로도 종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아 국채금리가 소폭 하락하는 등 대체로 안정된 모습을 보였음
□한국은행은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이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을 것으로 평가하였음
o 한․미 정책금리가 역전되었으나 우리나라의 양호한 기초경제여건 및 대외건전성 등을 고려할 때 당분간 외국인자금 유출입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하였음
□앞으로 주요국의 경기, 물가지표 등에 따라서는 통화정책 기대가 변화되면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으므로
한국은행은 실물경제 여건, 금융시장 동향, 외국인 투자자금 흐름 등을 면밀히 점검하는 가운데 필요시 시장안정화 대책을 적기에 시행할 계획임
*부총재보, 외자운용원장, 조사국장, 국제국장, 통화정책국장, 금융안정국장, 금융시장국장, 경제연구원장, 공보관, 정책보좌관, 투자운용1부장, 자본시장부장 등 참석
□미국 금융시장은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이 예견되었고 금년중 정책금리 예상 경로도 종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아 국채금리가 소폭 하락하는 등 대체로 안정된 모습을 보였음
□한국은행은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이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을 것으로 평가하였음
o 한․미 정책금리가 역전되었으나 우리나라의 양호한 기초경제여건 및 대외건전성 등을 고려할 때 당분간 외국인자금 유출입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하였음
□앞으로 주요국의 경기, 물가지표 등에 따라서는 통화정책 기대가 변화되면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으므로
한국은행은 실물경제 여건, 금융시장 동향, 외국인 투자자금 흐름 등을 면밀히 점검하는 가운데 필요시 시장안정화 대책을 적기에 시행할 계획임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은행] 2018년 3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0) | 2018.03.27 |
---|---|
[통계청] 2017 한국의 사회지표 (0) | 2018.03.23 |
[한국은행] 2018년 2월중 금융시장 동향 (0) | 2018.03.20 |
[한국은행] 2018년 2월 생산자물가지수 (0) | 2018.03.20 |
[국토교통부] '18년 4월~'18년 6월 전국 아파트 105,121세대 입주 예정 (0) | 2018.03.20 |